칸트의범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3:56본문
Download : 칸트의범주.hwp
범주는 경험적인 것들을 주어 모아 놓은 것이 아니라 형식논리학의 판단형식들의 통일을 길잡이로 해서 발견한 것들이다.
[판단표]
[범주표]
전칭 판단ㆍㆍㆍ
ㆍㆍㆍㆍㆍㆍㆍㆍ
단일성
분량 :
특징적 판단ㆍ
ㆍㆍㆍㆍㆍㆍㆍㆍ
다수성
단칭 판단ㆍㆍ
ㆍㆍㆍㆍㆍㆍㆍㆍ
전체성
긍정 판단ㆍㆍ
ㆍㆍㆍㆍㆍㆍㆍㆍ
실재성
성질 :
부정 판단ㆍㆍ
ㆍㆍㆍㆍㆍㆍㆍㆍ
부정성
무한 판단ㆍㆍ…(skip)
설명
칸트의범주 , 칸트의범주인문사회레포트 ,




칸트의범주
다.
칸트의범주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칸트의범주.hwp( 63 )
3. 판단 분류표와 범주표
판단의 일반적인 본성에 대한 이처럼 매우 불완전한 說明(설명) 을 하고 나서는 곧바로 칸트는 여러 강목의 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 강목하에서 판단들은 그 내용에 관계 없이 상호 배제적이고 그리고 선언지가 총망라되도록 세분될 수 있따 또한 오성작용의 원천으로서의 定義(정의) 은 선천적이며 자발성이다. 그 범주표와 판단표는 다음과 같다. 감성적 인식의 상위定義(정의) 으로서의 오성은 파생적 경험적인 것이 아니다. 이러한 定義(정의) 을 순수오성定義(정의) 또는 범주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