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0:18
본문
Download : 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hwp
② 미술품에 대한 사전 지식을 조사하기 위해 유사한 작품을 본 적이 있는지, 미술가…(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hwp( 57 )
다.
설명
순서






,예체능,레포트
레포트/예체능
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
미술과교수학습방법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미술과교수학습방법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 , 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예체능레포트 ,
미술과교수학습방법과
도록 하는 활동
★미술 작품에 대한 reaction(반응)의 방식 (브린(Brien)의 문학 작품에 대한 reaction(반응)의 방식에 근거.)
▷수용과 몰입의 reaction(반응)
감상 작품 수용의 성격, 작품에 몰입하는 능력에 의해 형성.
수용- 작품을 대하는 태도, 작품의 내용을 구조화하는 태도.
몰입- 학습자의 성격과 감정 이입에 의해 일어난다.
▷형식에 대한 analysis적 관심
작품의 조형적 언어에 대한 reaction(반응).
작품의 부분적 property(특성)에 reaction(반응)하는 경우.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reaction(반응)하는 경우.
▷연상reaction(반응)
은유에 의해, 즉 미술품에서 암시되는 여러 가지 단서에 의해 다양한 상황을 연상하도록 하는데 연상은 감상자 reaction(반응)의 질을 결정
이 세 가지 reaction(반응)의 방식은 상호 의존적
★미술과에서 reaction(반응) 중심 학습법의 활용
ꊱ감상 능력 향상을 위한 reaction(반응) 중심 학습법
▷미술과에서의 reaction(반응) 중심 학습법
·대상과 현상에 대한 자신의 reaction(반응)을 명료화하고 자신의 reaction(반응)에 따른 행동에 대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도록 하는 학습법.
·미술과 수업에서 학생들의 극히 개인적이고 내적인 reaction(반응)의 의식화, 명료화를 위해 reaction(반응) 중심 학습법의 활용이 적극 검토.←·미술과의 property(특성)상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등의 활동이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익숙한 대상을 낯설게 보거나 새로운 시각 현상을 보면서 학습자가 보여주는 개인적인 reaction(반응)을 중심.
·다양한 시대와 culture의 미술품을 보고 해석하고 판단하는 활동을 요구.
·인간과 사회,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가능.
· ① 미술품을 보고 연상되는 것을 이야기해 보도록 하면서 작품에서 본 것을 개인의 기억 세계와 관련지어 보도록 한다.
개인적 몰입은 미술적 경험을 살아 있게 하며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