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0:39
본문
Download : [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hwp
주휴일은 없으며, 오직 월 1회 쉴 수 있으나 실제로는 거의 쉬지 못한다.
순서
다. 쇼핑을 가거나 목돈을 스리랑카에 보낼 때는 쪽지에 필요한 금액…(drop)
![[경영][사회복지]%20제조업의%20이주여성노동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5D%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A0%9C%EC%A1%B0%EC%97%85%EC%9D%98%20%EC%9D%B4%EC%A3%BC%EC%97%AC%EC%84%B1%EB%85%B8%EB%8F%99%EC%9E%90_hwp_01.gif)
![[경영][사회복지]%20제조업의%20이주여성노동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5D%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A0%9C%EC%A1%B0%EC%97%85%EC%9D%98%20%EC%9D%B4%EC%A3%BC%EC%97%AC%EC%84%B1%EB%85%B8%EB%8F%99%EC%9E%90_hwp_02.gif)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상담과정에서 연수생 자격으로 입국한 이주여성 가운데 여권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을 정도이고, 저임금에 장시간노동, 직장내 성희롱, 폭행, 전화·서신 제한, 심지어 감금노동에 이르기까지 그 인권침해의 유형도 다양하다.
우리는 관리자의 엄격한 통제아래 기숙사에서 생활했고, 8시간 3교대근무를 하거나 매일 8시간 근무를 쉼없이 해야 했다.
[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
Download : [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hwp( 73 )
[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
경영,사회복지,제조업,이주여성노동자,인문사회,레포트
[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여권은 이 공장에 도착하자마자 관리자가 빼앗았으며, 월급은 기숙사한켠에 리스트가 게시될 뿐 통장을 만든 적도, 본 적도 없다.
외출은 월 1회 정도있는 쇼핑(식료품구입)과 년 1회 정도 놀이공원을 다녀오는 게 전부이다. 걸어가도 될법한 시장(도보 10분 거리의 인근재래시장)나들이 때도 늘 회사버스로 다녔다. 기숙사에 공중전화가 있으나 스리랑카로 하는 것 외에는 모두 금지당했고, 심지어 고향에서 보낸 편지마저도 전해지지 않았음을 부모님과의 전화통화를 통해 알았다. , [경영][사회복지]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인문사회레포트 , 경영 사회복지 제조업 이주여성노동자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제조업의 이주여성노동자
근로기준법 제5조는 근로자에 대하여 남녀의 差別(차별) 적 대우를 금하고 있으며, 국적, 신앙 등을 이유로 差別(차별) 적 처우를 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근로조건에 있어 이주여성노동자들의 현실은 등록, 미등록을 막론하고 가장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어 이같은 규정은 공허한 선언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렇게 우린 한국인 언니들과 똑같은 라인에서 똑같은 일을 하는데 우리네 월급은 그 절반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친해진 언니로부터 알았다.
아래 事例(사례)를 통해 그 reality(실태) 를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미등록이주여성노동자와 달리 연수생의 경우는 이들 상당수가 사실상 외부세계와 단절된 채 노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언젠가 회사에서 알아서 임금을 올려주겠다고 했는대, 상담과정에서 알고보니 이는 노동부의 ‘해외투자기업연수생‘보호지침 발표에 따른 것으로 최저임금수준을 지급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