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측정(測定) 과 척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7 20:40
본문
Download : [조사방법론] 측정과 척도.hwp
② 양적 측정(measurement)
槪念이나 변수값에 숫자를 부여하여 조작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측정(measurement)이란 양적 측정(measurement)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적 측정(measurement)에 의하여 부여된 숫자는 가감승제의 대상이 될 수 있다아 여기에는 서열측정(measurement), 등간측정(measurement), 비율측정(measurement)이 있다아
1) 명목측정(measurement)(nominal measurement)
명목측정(measurement)은 질적 측정(measurement)으로서, 측정(measurement)대상의 characteristic(특성)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가설이 될 수 있다는 것은 가설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reference(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는 것이고, 따라서 변수의 내용을 검증할 수 있도록 조작시키는 the gist적인 작업이 측정(measurement)이기 때문이다
2. 측定義(정의) 수준(방법)
변수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한 측定義(정의) 방법은 질적 측정(measurement)과 양적 측정(measurement)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아
① 질적 측정(measurement)
가설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나 槪念의 값을 숫자 대신에 레벨이나 이름 등을 부여하여 조작하는 방법이다. 이 때 부여된 숫자는 단순히 분류목적이나 구분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된 것에 불과하고 그 자체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Download : [조사방법론] 측정과 척도.hwp( 89 )
레포트/기타
조사방법론,측정과,척도,기타,레포트
측정(measurement)과 척도
제 1 절 측정(measurement)
1. 측定義(정의) 의의
○ 연구주제나 내용을 과학주의에 의해서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확하게 가설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 측정(measurement)(measurement)이란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변수간의 관계를 진술한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각 변수들의 내용을 현실사회에서 측량할 수 있도록 조작시키는 작업이다. , [조사방법론] 측정과 척도기타레포트 , 조사방법론 측정과 척도
![[조사방법론]%20측정과%20척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B8%A1%EC%A0%95%EA%B3%BC%20%EC%B2%99%EB%8F%84_hwp_01.gif)
![[조사방법론]%20측정과%20척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B8%A1%EC%A0%95%EA%B3%BC%20%EC%B2%99%EB%8F%84_hwp_02.gif)
![[조사방법론]%20측정과%20척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B8%A1%EC%A0%95%EA%B3%BC%20%EC%B2%99%EB%8F%84_hwp_03.gif)
![[조사방법론]%20측정과%20척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B8%A1%EC%A0%95%EA%B3%BC%20%EC%B2%99%EB%8F%84_hwp_04.gif)
![[조사방법론]%20측정과%20척도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B8%A1%EC%A0%95%EA%B3%BC%20%EC%B2%99%EB%8F%84_hwp_05.gif)
![[조사방법론]%20측정과%20척도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B8%A1%EC%A0%95%EA%B3%BC%20%EC%B2%99%EB%8F%84_hwp_06.gif)
[조사방법론] 측정(測定) 과 척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정확하게 가설을 구성한다는 것은 연구주제를 현실의 경험사회에서 검증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명목측정(measurement)이다.
* 학번, 차량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시내버스노선번호, 운동선수의 등번호
이러한 명목측정(measurement)은 측정(measurement)대상을 상호 배타적인 집단으로 구분하는데 이용된다 상호 배타적인 분류란 모든 개개의 측정(measurement)대상을 어느 한 집단에 속하도록 분류할 수 있어야 하며, 동일한 집단에 …(투비컨티뉴드 )
순서
[조사방법론] 측정(測定) 과 척도
다.
설명
[조사방법론] 측정과 척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